만 3세 자신의 행동에 대한 잘잘못에 대해서도 인정할 수 있는 만 3세 이후부터는 보상을 더 크게 활용할 수 있다. 언어능력 또한 의사소통이 가능할 정도로 향상되므로 부모는 아이의 행동에 대해 평가하고 긍정적인 행동을 보상으로 강화해 나갈 수 있다.
만 4~6세 이 시기에는 선악의 개념이 보다 분명하게 형성되기에 보상이 매우 효과적이다. 6~7세 무렵에는 ‘내가 이만큼 하면 이런 보상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객관적 논리성’이 생겨 보상을 통한 좋은 습관 들이기가 가능해진다.
Advice 아이가 인내심을 가지고서 꾸준히 행동을 이어나갈 수 있고 성공한 기간이 오래될수록 더 큰 보상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다. 보상의 한계를 미리 정해놓으므로 과도한 욕심을 부리지 않게 된다.
BAD 어느 날 갑자기 “오늘 저녁을 남김없이 먹으면 장난감 사줄게”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마다 “젤리 줄 테니까 이리 와서 그림 그리자” “장난감 치우면 과자 줄게” 같은 즉흥적인 보상을 제공한다.
Advice 어떤 일의 대가나 교환으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은 좋지 않다. 정해진 원칙 없이 부모의 기분에 따라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은 아이에게 바람직한 행동을 심어주기보다는 부모의 말을 무조건 잘 들어야 착하다는 식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매번 보상을 제공하면 자신의 행동에 꼭 보상이 주어진다는 그릇된 인식을 심어준다. 아이는 보상 없이는 아무것도 하지 않으려고 할 수 있다.
보상은 확실한 원칙과 목표가 있어야 하며 아이와의 거래로 변질되지 않게끔 유의한다. 아이는 어느 순간 보상에 익숙해져 무엇이든 원하는 것을 받으려 하고, 먼저 자신이 바라는 것을 줘야만 특정한 행동을 하겠다는 식으로 나올 수 있다. 따라서 부모는 보상을 할 때 매번 주는 것이 아니며, 어떠한 행동은 보상 없이 당연히 해야 한다는 점을 일러준다. 그리고 즉흥적으로 값비싼 선물이나 음식을 보상으로 내걸어서는 안 된다.
기획·글 앙쥬 편집부 담당 에디터 류신애 내용·사진출처 앙쥬 자료실
훈육노하우 [202312] | 4년 만에 돌아온 베베쿡 팩토리 투어 안심견학단 26기와 함께한 춘천에서의 하루(0) |
---|---|
훈육노하우 [202312] | Always Reliable! 스펙트라 수유용품 라인업(0) |
훈육노하우 [202312] | 새로운 육아 라이프를 실현하는 부가부의 혁신적 솔루션(0) |
훈육노하우 [202312] | 2023 LIMITED 페넬로페 크리스마스 에디션(0) |
훈육노하우 [202311] | 변비 비켜! 임신부 변비 탈출법(0) |
현재 0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